
[ 영화분석의 기초개념 - 윤종욱 ]
영화분석을 도전해 보기 위해 윤종욱 교수의 ‘영화분석의 기초개념’를 참고해보았다. 저자는 영화분석을 위한 과정을 대략적으로 나누고 이에 대한 질문을 준비해 둠으로써 질문에 대한 답만 채워나가더라도 영화 분석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독자들에게 큰 도움을 준다. 이번 포스팅은 영화 분석문 작성에 도움을 주는 질문을 다룬다.

1. 프로토콜
영화분석을 위한 최소한의 준비 과정이다. 영화를 시퀀스와 하위 시퀀스로 나누고 개별 시퀀스마다 시간 순서로 내용과 형식 면에서 특징을 기록한다. 본래 숏 프로토콜을 준비하나, 숏프로토콜을 작성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숏 프로토콜은 전체 영화가 아니라 특정 부분에 대해서만 작성하기도 한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 처음 보고 난 다음 느낀 영화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 작성한 프로토콜을 읽어 보았을 때 영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 영화의 주요 특징을 규정하는 것은 시각 영역, 서사 영역, 음향 영역 중 어느 것인가?
∙ 부분적으로 숏 프로토콜을 작성할 필요가 있는가? 있다면 어느부분인가?

2. 시각분석(이미지)
사진 • 영상 이미지는 사각 형태의 프레임 내부에 위치한다. 프레임의 상하좌우는 나름의 상직적인 의미를 가지며 프레임 내 대상의 형태 (선,형,면) 역시 의미전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 영화 속 이미지는 실제 현실을 기반으로 한 것인가, 영화를 위해 제작된 것인가?
∙ 인물과 대상 배치의 측면에서 프레임 구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 프레임 안 이미지의 선, 형, 면 측면에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 외화면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봤을 때 이 영화는 열린 형식에 가까운가 닫힌 형식에 가까운가?
∙ 컬러영화임에도 흑백의 장면을 사용했는가? 이 흑백 장면에서 다큐멘터리적 기법을 사용했는가?

3. 시각분석(카메라 기법)
카메라의 시선은 곧 관객의 시선이다. 숏의 크기는 관객과 촬영 대상 간의 거리를 규정하는 것이고 카메라의 각도를 통해 특정한 느낌을 표현한다. 카메라의 움직임은 영상에 역동성을 가미한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 두드러져 보이는 촬영 요소는 무엇인가?
∙ 어떤 크기의 숏이 많이 사용되었는가?
∙ 다양한 선택가능성이 있음에도 감독이 특정한 숏, 카메라 시선, 카메라 움직임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 카메라의 움직임은 많은가, 적은가? 카메라의 움직임과 대상의 움직임은 어떤 관계인가?
∙ 인물을 바라보는 카메라의 시선은 항상 같은가 아니면 바뀌는가?

4. 시각분석(공간)
조명은 대상과 배경의 구분을 명확히하여 화면의 공간감을 만드는데 핵심적인 기여를 한다. 영화의 각 요소들을 영화 공간에 배치하고 표현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미장센이라 한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영화의 전반적 분위기는 어떠한가
∙영화 공간은 입체적인가, 평면적인가?
∙미장센이나 조명 등의 형식을 통해 영화의 주제가 강조되는가, 모호해지는가?
∙인물이나 물체의 그림자가 자연스러운가, 아니면 인위적으로 과장되어 있는가?
∙영화가 롱테이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미장센의 의미를 강조하는가? 아니면 편집과 몽타주가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가?
∙등장인물과 주변 환경 사이의 관계에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5. 서사분석 (드라마투르기 Dramaturgie, 연출법)
스토리는 영화의 내용으로 사건과 등장인물이 만들어내는 연대기적이며 인과적인 연속이다. 프롯은 시간순으로 진행되는 서사 안에서 사건들을 특정하게 배열한 것이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영화의 제목에 영화가 강조하려는 것의 단서가 있는가?
∙닫힌 형식의 드라마투르기인가? 아니면 에피소드적 구성을 기반으로 하는 열린 형식인가?
∙도입부에서 제시되는 내용은 전체 영화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
∙등장인물은 중심인물인가, 부차적 인물인가? 이 영화는 인물에 관한 영화인가, 아니면 인물은 특정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상징이나 징후인가?
∙등장인물의 성격은 일관되는가, 아니면 영화가 진행되면서 변하는가?
∙영화 캐릭터와 관객 중에서 누가 영화 속 사건과 진행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가?

6. 서사분석 (서사 기법)
카메라의 시점은 곧 관객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화자의 시점이기도 하다. 영화 속 화자는 전지적 화자와 일인칭 화자로 구분할 수 있다. 영화 속 시간은 영사 시간과 달리 압축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영화가 특정한 인물의 시점을 강조하는가?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영화에서 일인칭 시점이 등장하는 부분이 있는가? 전지적 시점에서 일인칭 시점으로 전환하게 되는 영화 내부의 근거는 무엇인가?
∙영화에서 보이스 오버가 사용되는가? 그 효과는 무엇인가?
∙영화는 어떤 방식으로 시간을 조작하는가? 이를 통해 영화가 강조하는 것은 무엇인가?

7. 서사 분석 (몽타주)
몽타주는 서로 다른 숏을 부딪혀 새로운 의미를 만드는 편집 행위이다. 반대로 편집을 눈에 띄지 않게 해서 관객의 몰입을 유도하는 방식은 비가시적 편집이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편집이 두드러져 보이는가?
∙개별적 시퀀스 혹은 전체 영화에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몽타주가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전통적 비가시적 편집을 기반으로 했는가, 아니면 미장센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는가?
∙몽타주가 어떤 방식으로 의미를 만들어 내는가?
∙숏과 숏을 연결하는 원칙은 무엇인가?

8. 청각 분석
청각 분석은 영화 음향의 세 가지 주요분야인 음성언어, 효과음, 음악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다른 영화보다 음향에 더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가?
∙어떤 종류와 특징을 가진 청각 요소가 사용되고 있는가?
∙온, 오프, 외화면 사운드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음향과 영상은 서로 보완적 관계인가, 아니면 모순적 관계인가?
∙특별한 효과를 얻기 위해 묵음이 사용되었는가?

9. 맥락
영화 제작과 수용 맥락을 다루며 다양한 관점에서 흥미로운 분석을 할 수 있다.
<영화 분석을 위한 질문>
∙영화는 어느 장르에 속하는가? 또한 이 장르의 관습을 지키고 있는가, 변형하고 있는가?
∙감독이 이전에 만든 영화와 현재 영화는 어떤 관계인가?
∙어떤 담론이 반영되어 있으며, 이를 다루는 영화의 태도는 어떠한가?
∙영화에 원작이 있는가? 그렇다면 원작과 영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10. 분석문 작성
분석문은 대개 한 편의 영화를 다루거나, 두 편의 영화를 비교하고 대조한다. 하나의 영화를 분석한다고 해도 영화의 모든 영역을 다룰 수 없기 때문에 영화의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 확실하게 범위를 좁혀야 한다.
<분석문 작성 유의사항>
∙ 분석문을 작성하기 전 영화의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 분석의 범위를 좁혀야 한다. 영화의 시각적, 서사적, 청각적 요소의 모든 부분을 다루는 것은 대상이 한편의 영화라고 할지라도 분석문의 제한된 분량을 넘어서게 마련이다. 많은 사람들이 한 편의 영화를 중심으로 박사논문을 썼다는 점을 기억하라.
분석문을 작성하기 전에 자신이 설명, 주장하고 증명혹은 지지하려는 핵심 내용이 무엇인지 스스로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다양한 요소를 다루더라도 한 가지 관점에서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좋다.
∙ 분석문을 쓰기 전에 먼저 자신을 위한 개요를 작성해야 한다. 대략 다섯에서 열 줄 정도로 주장하려는 내용을 정리한다. 어떤 측면을 다룰 것인지, 핵심 질문은 무엇인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어떤 단계를 밟을 것인지가 개요의 핵심 내용이다. 개요를 작성한 후에는 자료 조사를 통해 분석문 작성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들을 정리한다.
∙ 프로토콜을 적극 활용. 작성한 프로토콜을 정리하고 관찰함으로써 영화의 전체적 특징을 알 수 있고 자신의 주장을 확실하게 만들며, 때로는 주장하려는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 시퀀스 프로토콜의 경우 영화에 대한 전체적 조망과 시퀀스와 시퀀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며, 이로써 영화의 구성 원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분석문에는 영화의 내용을 자세히 요약하지 않는다. 분석문이 영화의 특정 부분에 집중하는 것처럼 영화의 내용 역시 분석에 필요한지의 여부에 따라 간략하게 제시해야 한다. 도입부에 영화의 내용을 요약, 언급하는 것은 서너 줄 분량이면 충분하다.